북한 관련 자료 찾는 방법 How to Find North Korean Research Resources

북한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자료 수집의 어려움”일 것이다. 늘 정확한 자료를 찾기 어려운 현실, 그리고 자료가 인터넷상에 공개되어 있지 않거나 접근 불가한 현실에 부딪히곤 한다. 그래도 그나마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할만한 곳을 정리해보았다.

기본적으로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북한인권정보센터, KOSIS 북한통계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북한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다들 아실 것이라 생각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그 외에 잘 알려지지 않은 방법들 위주로 소개할 것이다.

1.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극동문제연구소에 직접 가서 자료를 대여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소장자료를 검색하면 소장여부와 대출 가능 여부가 나온다. 검색은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하면 된다. 다행히도 극동문제연구소는 서울에 있기 때문에 .. ^^ 경남까지 가는 수고는 하지 않아도 된다.

2. KCNA WATCH : 북한 신문 열람

KCNA Watch는 나름 고급정보(?)인데, 미국 기관이고 북한 신문을 매일 아카이빙해서 올려준다. 북한 관련한 노동신문을 한글, 영문버전 모두로 제공하기 때문에 영어로 논문을 쓰고 싶은 경우에 영어로 자료를 수집해도 좋을 것 같다. 물론 데이터를 다운받게 해주지는 않음.

Create Chart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어서, 내가 보고자 하는 연구주제가 얼마나 자주 언급되고 있는지 트렌드까지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너무 좋다. 여성으로 검색을 해보았다.

3. 북한 지리정보

1) 구글 어스 위성지도: 구글 어스를 통해서 북한의 위성사진을 열람할 수 있다. 실제 구글 어스 사진들은 많은 북한연구기관들에서 북한 현황을 관측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2) Wikimapia: 위키백과의 지도버전.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형 지도이다. 북한에 방문한 사람들이 하나 둘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구글맵보다는 훨씬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로만 검색하면 안나오는데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등으로 입력된 정보들이 많이 있다. 아래는 ‘elderly’로 검색한 결과. 주의할 점은 당연히 ‘위키’이기 때문에 정확성은 보장 안됨.

4.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 대상을 구하는 방법

탈북민들이 설립한 단체인 ‘우리온’에서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를 연결해주는 사업을 하고 있다. 설문의뢰 신청서를 작성하고 견적을 내서 조사를 해볼수도 있을 것 같다.

다만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에 30,000명 정도가 있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너무 많이 시행되어서 설문에 대한 피로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고 개인이 지불하기에는 사례비 단가가 꽤나 높게 형성되어 있는 편이라는 점을 알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다.

5. 북한이탈주민 관련 자료

남북하나재단에서 탈북 청소년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가 매년 시행된다. 원자료는 탈북민의 특성상 개인정보에 민감하여 공개하지 않는다. 인포그래픽은 매년 업데이트 된다.

6. 국외 자료

1) 미국의회도서관 – 동아시아 – 한국관 : 북한자료센터에 없는 노획문서(한국전쟁 기간 미군이 북한 지역에서 획득한 자료)들이 있다고 한다.

2) UN 통계 통합검색 / UN 데이터베이스 (참고로 2009년에 인구센서스 시행되어 2010년에 발표되었고, 2019년에 시행되어 내년 발표 예정)

3) University of Michigan Research Guides – North Korea : 관련된 사이트를 아주 잘 정리해두었다.

한 학기동안 북한학과 과목 한과목을 열심히 수강하고, 텀페이퍼를 쓰면서 북한 자료의 부족에 많이 힘들어 했고 그러면서 찾은 꿀자료 보관소들을 소개해보았다. 더 찾을때마다 추가해야겠다.

  • September 22, 2019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