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을 위한 개인 홈페이지 제작 기본 지식
아는 분이 홈페이지 제작 어떻게 하는지 물어보셔서 적어본 것인데 이런 질문을 종종 받았기에 홈페이지에도 올려둔다 🙂
기본 지식 : 홈페이지를 집으로 비유한다면?
- 호스팅 : “땅”. 컨텐츠를 넣어둘 인터넷상의 저장소. 즉 서버.
- 도메인 : “주소”. 우리 집이 어딘지 사람들한테 알려줄 때 쓰는 것. fancy하지 않아도 상관 없다면 보통 호스팅 서비스에서 기본으로 주는 도메인이 있음. 하지만 예쁜 주소를 사용하고 싶다면 추가금을 지불하는 것.
- 템플릿 : “건축/인테리어”. 집을 샀다면, 인테리어를 할 차례. 하지만 아예 창조적으로 인테리어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기존에 누가 해둔 인테리어를 가져다가 내가 원하는 디테일만 바꿔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것이 템플릿.
어디서 제작할까?
아래 두 가지는 대학원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홈페이지형 블로그 제작 툴. 각각 유저가 많아서 템플릿이 많이 축적되어 있어서 취향에 맞는 템플릿을 서치한 다음에 임포트해서, 커스터마이즈 하면 된다.
1. GitHub
- 홈페이지 제작 가이드: https://wepplication.github.io/programming/github-pages/
- 템플릿 예시 및 사용 방법: https://github.com/ChungLab/lab-page-template
이 밖에도 GitHub homepage template를 구글링하면 무수히 많이 나오므로 취향에 맞는 템플릿을 임포트해서 활용하면 된다. - 개인 홈페이지 예시
- 이 사이트에서 데모 사이트를 보고 clone project 해서 쉽게 고를수도 있다! Creator Stories
- 장점: 호스팅 비용이 들지 않음. 코드 업로드가 편하다! (code sharing 많이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
- 단점: Github에 syntax writing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다.
- github pages 를 통해서 블로그와 같은 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아래 영상 참고.
- 영어 설명은 여기서도 볼 수 있다: Kevin H. Wilson, So you want to build an academic website?
2.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 템플릿 검색하면 많이 나옴. 기본으로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무료 템플릿들도 질이 괜찮은 편.
- 장점: 둘을 비교했을 때 개인적인 생각은 “블로깅” 용도로는 워드프레스가 낫다고 생각한다. 깃헙은 마크다운에 작성하는 식으로 올려야 하고 워드프레스 기본 에디터가 훨씬 기본 탑재 기능도 많고 편하기 때문이다. 반면 글을 자주 올리지 않고, 단순 페이지 업뎃/포트폴리오 용도로 활용할 것이라면 깃헙도 좋을 것 같다.
워드프레스: 호스팅은 어떻게 하면 되는걸까?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호스팅 서비스가 필요하다. 호스팅 서비스를 정했다면 이 글을 참고해서 설치하면 된다. FTP를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았고,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국내 서비스인 닷홈의 무료 호스팅 + 설치까지 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초보자들에게 많이 추천하는 편. 무료 호스팅의 단점은 용량이 작기 때문에 사람이 조금만 접속해도 서버가 터져버린다는 것인데, 그러면 유료로 호스팅을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
팁: 워드프레스 설치를 마치고 admin 페이지로 들어가면 워드프레스 관리 Dashboard 페이지가 나온다. 여기서 Appearance 를 클릭하면 워드프레스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테마들을 설치해서 이용할 수 있다.
테마를 다운받은 후에 업로드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wordpress free theme 이런식으로 검색하거나, 워드프레스 테마 판매 사이트 중 가장 규모가 큰 theme forest에서 취향에 맞는 테마를 검색하면 된다. 그런 후에 Appearance 섹션에 들어가서 Upload theme 해서 그 파일을 업로드하면 테마를 설치할 수 있다.

미국 대학교에 재학중이라면 학교에서 워드프레스 호스팅과 템플릿을 제공해줄 수도 있다. 나의 경우에도 학교에서 워드프레스 호스팅을 제공하며, 템플릿도 제공한다 [NYU 예시]. 다만 학교에서 정해준 템플릿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플러그인 설치가 안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더 찾아보니 학교에서 웹 호스팅만 제공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NYU 예시], 이 경우 FTP를 이용해 워드프레스 설치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있긴 하지만 홈페이지 수정에 있어 자유도가 훨씬 높으므로 장점이 많다. 각자가 얼마나 HTML에 편한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원하는지에 따라 다르다. HTML에 편하고 커스텀을 많이 하고 싶다면 직접 설치해서 하는 편이 좋을 것이고, 그냥 정해진 템플릿에 적당히 있어도 상관 없다면 이미 설치된 것에서 컨텐츠만 바꾸는 것이 훨씬 편할 것이다.
다만 학교 호스팅이나 도메인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하진 않는데, 우리는 대학원생이기 때문에 학교를 졸업하면 옮겨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랩 홈페이지가 아닌 개인 홈페이지 호스팅 및 도메인은 따로 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참고로, 워드프레스의 경우 wordpress.com 과 wordpress.org 두 종류가 있다. 내가 지금까지 설명한 워드프레스는 설치형으로 후자이다. 전자의 경우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와 같이 기존에 설치되어서 모든 것이 정해져 나오는 것인데, 플러그인 부가 설치도 안되고 테마 설치도 안되는 등 제한이 많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사실 홈페이지보다는 블로그에 가깝다고 생각해서 굳이 추천하지는 않는다.
둘다 어렵다면 간단하게 google sites나 weebly를 이용해도 된다. 자주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면 이정도도 충분함!
저의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포트폴리오
- 아시아평화를향한이주(MAP) – NGO Website
- NYU CARA Project – Research project Website
- Team SWIFT – Reading group website